A 임상시험 통계용어 해설

계획서 순응 임상시험대상자군, Per Protocol Set
과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이들 자료로써 충분히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임상시험 계획서에 순응하여 연구를 종료한 연구대상 집단에서 얻어진 자료를 말한다. 여기서 순응도는 치료의 노출에 대한 고려, 측정치의 활용가능성, 그리고 주요한 임상시험 계획서 위반사항이 없다는 것을 포함한다.

권장용어와 유사용어, Preferred and Included Terms
유사용어는 연구자가 약물 부작용을 기술하는데 사용하는 각종 다른 용어를 코드화하는데 가장 하위 수준의 용어이고, 권장용어는 전통적으로 부작용 발생의 빈도를 보고하는데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를 말한다(MedDRA와 같은 계층적인 의학용어 사전에서 분류하여 기록됨). 예를 들면, 연구자가 기술한 경우에 유사용어로 ‘point pain’으로 코드화 될 수 있으나, 권장용어로는 ‘Arthralgia’로 보고된다.

내용 타당도, Content Validity
어떤 변수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얼마나 정확히 측정하였는 지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눈가림 검증(눈가림 조사), Blind Review
계획된 분석을 종료할 목적으로 임상시험의 종료시점과 눈가림 해제사이 기간 동안에 연구자료를 검토․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다기관 임상시험, Multicentre Trial
하나 이상의 기관에서 단일 계획서에 따라 수행된 임상시험을 말하며, 다기관 에서 행해지므로 한 명 이상의 연구자에 의해 수행된다.

대리변수, Surrogate Variable
임상 효과의 직접적인 측정이 쉽지 않거나 불가능한 상황에서 간접적으로 효과를 측정해주는 변수를 말한다.

독립적 자료 모니터링 위원회(IDMC), Independent Data Monitoring Committee
독립적 자료 모니터링 위원회는 임상시험의 진행, 자료의 안전성, 임상적인 유효성 평가변수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의뢰자에 의해 설립될 수 있고, 이 위원회에서는 임상시험의 지속, 변경, 중단 여부에 대해 의뢰자에게 조언한 다.

동등성 평가시험, Equivalence Trial
두 가지 혹은 그 이상의 치료 반응이 임상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양만큼 차이가 남을 입증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는 임상시험을 말한다. 보통 이것은 진정한 치료차이가 임상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차이의 상한과 하한의 범위내에 있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입증할 수 있다.

메타분석, Meta-Analysis
동일한 주제에 대해 수행된 두 가지 이상의 임상시험으로부터 정량적인 증거를 평가할 목적으로 행하는 분석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다른 여러 임상시험의 결과로 제시된 요약 통계량을 통계적으로 결합하는 과정을 가장 흔히 사용하지만, 때로는 원 자료를 결합하여 분석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무작위 배정된 모든 임상시험대상자 군, Full Analysis Set
‘배정된 대로 분석’ 원칙에 의해 제공되는 개념과 가능한 한 근접하는 이상적인 연구대상 집단을 말한다. 이것은 모든 무작위 배정된 대상자로부터 최소한의 제외사유가 정당한 연구대상자를 제거한 임상시험대상자군이 된다.

‘배정된 대로 분석’ 원칙, Intention-To-Treat Principle
무작위 배정된 모든 연구대상자는 처음 배정된 치료군에 속한 것으로 하여 주 분석을 시행하여야 한다는 원칙이다. 즉, 치료군에 배정된 연구대상자는 계획된 치료에 순응하는지에 상관없이 배정된 군의 구성원으로 추적 관찰되고, 평가되고, 분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베이지안 접근법, Bayesian Approaches
미지의 모수(예, 치료효과)에 관한 실제 관측이전의 지식을 사전분포라는 확률 분포로 나타내고 여기에 관찰된 자료를 결합하여 사후분포를 제공해주는 자료 분석법을 말한다. 여기서 구한 사후분포는 미지의 모수에 관한 모든 통계적 추론을 위한 근거로 사용된다.

비뚤림(통계적 & 실행적), Bias(Statistical & Operational)
치료효과를 추정하기 위한 임상시험의 계획, 수행 및 결과해석 과정에서 치료 효과의 추정치를 참 값과 벗어나게 만드는 요소들의 계통적 경향성을 말한다. 연구수행상의 이탈로부터 기인한 비뚤림을 ‘실행적 비뚤림’ 이라 하며, 위에서 열거한 다른 원인인 분석과 결과해석 단계에서 기인한 비뚤림을 ‘통계적 비뚤림’ 이라 한다. 예를 들어, 치료군 배정시 예후가 나쁜 임상시험대상자들이 계획적으로 한가지 치료법을 지정받는 것은 조작적 비뚤림이고, 계획서 위반이나 임상시험대상자의 결과에 근거하여 분석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정확한 치료효과를 평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통계적 비뚤림이다.

비열등성 평가시험, Non-Inferiority Trial
새로운 치료약의 결과가 비교하는 약(기존 치료약이나 위약)보다 임상적으로 열등하지 않음을 입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임상시험을 말한다.

상호작용(정성적 & 정량적), Interaction(Qualitative & Quantitative)
상호작용은 치료효과의 차이가 연구대상이 되는 약물이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상황을 말한다. 예를 들어 치료군과 대조군간 치료효과의 차이가 각 센터에 따라 변화되는 상황을 말한다. 정량적 상호작용은 치료효과 차이의 크기가 요인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상황을 말하며, 정성적 상호작용은 요인의 적어도 한 수준에서 치료효과 차이의 방향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안전성과 내약성, Safety & Tolerability
안전성은 일반적으로 임상검사, 활력징후(vital signs), 임상적인 이상반응(질병, 증상 및 증후) 그리고 다른 특수 안전성 검사(예, 심전도 검사, 안과검사 등)에 의해 임상시험에서 평가되는 연구대상자의 의학적 위험도와 관련이 있다. 내약성은 임상적으로 명백한 이상반응을 연구대상자가 참아낼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우월성 평가시험, Superiority Trial
새로운 치료약의 결과가 비교대조 약(기존 치료약이나 위약)보다 우월함을 입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임상시험을 말한다.

이중위약, Double-Dummy
두 치료제가 동일하지 않을 때 눈가림법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치료제 A에 대한 위약과 치료제 B에 대한 위약을 준비하여, 각 연구대상자에게 A 치료제와 B위약 또는 A위약과 B치료제 두가지 경우의 조합 중 한가지를 배정하게 된다.

일반화, Generalisability, Generalisation
임상시험의 결과를 시험에 참여한 연구대상으로부터 더 넓은 범위의 환자집단과 임상상황에까지 적용시킬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종합평가변수, Global Assessment Variable
환자의 상태나 그 변화에 대한 객관적인 변수와 연구자의 전반적인 의견을 통합하는 단일 변수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순서화된 범주형 척도로 나타낸다.

중간분석, Interim Analysis
임상시험을 공식적으로 종료하기 전 어느 시점에서나 치료군간에 유효성이나 안전성을 비교․평가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분석을 말한다.

중도탈락, Dropout
임상시험의 연구계획서에서 요구된 마지막 방문까지 계속할 수 없는 이유를 가져 관찰이 중단된 연구대상을 말한다.

치료효과, Treatment Effect
임상시험의 치료로 인해 나타난 효과를 말한다. 대부분의 임상시험에서 연구 대상 치료효과는 2개 이상의 치료군에 대한 비교에 있다.

치료 중 발생한 이상반응, Treatment Emergent
치료전에는 없었던 반응이 치료 도중 나타났거나, 어떤 반응이 치료전의 상태 보다 더 악화된 경우를 말한다.

통계분석계획, Statistical Analysis Plan
통계분석계획은 임상시험 계획서에서 언급된 분석의 주요한 특성을 보다 기술적 이고 상세하게 포함하고 주 변수와 이차변수의 통계적 분석 수행을 위한 보다 자세한 처리절차를 포함하는 내부문서를 말한다.

평가자간 신뢰도, Inter-Rater Reliability
서로 다른 평가자가 각기 다른 상황에서 평가하였을 때 그 결과가 동일하게 나타나는 정도를 말한다.

평가자내 신뢰도, Intra-Rater Reliability
같은 평가자가 다른 상황에서 평가하였을 때 결과가 동일하게 나타나는 정도를 말한다.

확률 통계적 방법, Frequentist Methods
동일한 실험 조건이라는 가정하에서 얻어지는 결과의 빈도를 이용하여 유의성 검정과 신뢰구간을 구하는 등의 통계적 방법을 말한다.